1. Video Sequence Editor(VSE) 개요와 인터페이스 이해
블렌더는 3D 모델링, 애니메이션뿐 아니라 영상 편집(Video Editing) 기능도 제공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주요 툴이 바로 **VSE(Video Sequence Editor)**입니다. VSE는 블렌더 내장 영상 편집기이며, 컷 편집, 오디오 조정, 효과 적용, 자막 삽입 등 기본적인 영상 편집 기능을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영상 편집용 워크스페이스로 진입하려면 상단 탭에서 "Video Editing" 탭을 클릭하면 됩니다. 그러면 화면이 다음과 같은 구조로 나눠집니다:
- 상단 좌측: 미리보기(Preview) 창 – 현재 편집 중인 영상 확인
- 하단 중앙: 시퀀스 스트립(Sequence Strip) – 실제 편집 트랙
- 우측: 속성(Properties) – 선택한 스트립의 세부 정보 조정
시퀀스 스트립에서는 다양한 미디어를 트랙 형태로 배치합니다. 기본적으로 이미지, 영상, 사운드 파일을 임포트하고, 타임라인에 배치하여 컷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편집을 진행합니다. 마치 어도비 프리미어나 다빈치 리졸브의 타임라인과 비슷한 구조입니다.
블렌더에서 지원하는 주요 입력 포맷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영상: .mp4, .mov, .avi, .mkv 등
- 이미지 시퀀스: .png, .jpg 등 연속된 이미지
- 오디오: .mp3, .wav, .ogg 등
파일을 불러오려면 Shift + A 또는 상단 메뉴의 “Add” → Movie, Sound, Image/Sequence 등을 선택하면 됩니다. 불러온 스트립은 타임라인에 배치되며, 각 스트립의 위치와 길이를 마우스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VSE는 직관적이면서도 강력한 편집 도구입니다. 다중 트랙 편집, 오버레이 효과, 트랜지션, 색 보정, 텍스트 삽입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영상 편집 프로그램 없이도 충분한 수준의 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2. 영상/오디오 삽입 및 기본 컷 편집
VSE에서의 영상 편집은 클립 삽입 → 배치 → 자르기 및 이동 → 미리보기 확인 순으로 이루어집니다. 가장 기본적인 편집 작업인 컷 편집(Cut Edit)은 매우 직관적이며, 대부분의 작업을 마우스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영상 및 오디오 삽입
- Shift + A → Movie 또는 Sound 선택
- 원하는 파일을 선택하면 시퀀스 스트립에 자동 배치됨
- 스트립은 각각 색으로 구분되며, 비디오 스트립은 보통 파란색, 오디오는 녹색
- 스트립 이동 및 조정
-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시작 프레임 이동
- S 키로 길이 조절, G 키로 위치 이동
- K 키 또는 마우스 우클릭 → “Split”을 통해 특정 지점에서 스트립 자르기 가능
- 컷 편집 예시
- 인트로 영상 앞 3초 삭제: 커서 이동 후 K, 앞쪽 스트립 삭제
- 불필요한 구간 제거: 원하는 부분 Split → 중간 스트립 선택 후 X로 삭제
- 여러 영상 이어붙이기: 서로 다른 스트립을 시간 순으로 배치
- 오디오 조정
- 오디오 볼륨: 선택 후 우측 Properties → Volume 수치 조정
- 페이드 인/아웃: “Effect Strip”을 활용하거나 수동으로 키프레임 삽입 가능 (I 키)
- 실시간 미리보기
- Alt + A 또는 타임라인 상단의 Play 버튼
- 미리보기 창에서 결과물 확인 가능 (재생 품질은 프록시 설정으로 개선 가능)
이러한 기본 편집 기능만으로도 대부분의 짧은 영상이나 소개 영상, 유튜브용 영상 편집을 무리 없이 진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블렌더 내부에서 3D 작업 후 바로 VSE로 이어지는 편집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워크플로우 효율성이 매우 높습니다.
3. 텍스트 삽입, 효과 적용 및 영상 출력
VSE는 컷 편집 외에도 다양한 **시각 효과(Effect Strip)**와 텍스트 삽입 기능을 제공합니다. 블렌더 내에서 간단한 타이틀, 자막, 전환 효과를 추가하여 완성도 있는 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 텍스트 삽입
- Shift + A → Effect Strip → Text 선택
- 타임라인에 생성된 텍스트 스트립 선택
- 우측 속성 패널에서 텍스트 내용, 글꼴, 정렬, 색상, 배경 등 설정 가능
- 위치 조정은 프리뷰 창에서 직접 G 키 또는 수치 입력
- 페이드 인/아웃 효과
- 영상이나 오디오 스트립의 시작/끝에 키프레임 삽입
- 예: Volume → 0.0 → I, 몇 프레임 뒤 → Volume → 1.0 → I
- 텍스트의 투명도 역시 Opacity 속성에 키프레임 삽입으로 조정 가능
- 전환 효과
- 두 영상 스트립이 겹쳐 있는 상태에서 Shift + A → Transition → Cross
- 디졸브, 와이프 등 다양한 효과를 활용 가능
- 효과 길이는 겹친 영역으로 자동 지정되며, 수동 조절도 가능
- 색 보정 및 필터
- Color Balance, Bright/Contrast, Hue Correct 등의 스트립 추가 가능
- 복잡한 효과는 Compositor와 병행 작업 가능
- 영상 출력(Rendering)
- Output Properties에서 포맷 설정:
- File Format: FFmpeg video
- Container: MPEG-4
- Video Codec: H.264
- Audio Codec: AAC
- Output 경로 지정 후 Ctrl + F12로 렌더 시작
- 최종 파일은 지정한 폴더에 .mp4 또는 .mov 등으로 저장됨
- Output Properties에서 포맷 설정:
텍스트 애니메이션이나 화면 전환 효과는 아주 기본적이지만, 간단한 콘텐츠에는 충분한 시각적 완성도를 제공합니다. 특히 블렌더 내에서 모델링, 애니메이션, 영상 편집까지 일관된 워크플로우를 제공한다는 점은 큰 장점입니다.
'Blender 가이드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3D 모델을 GIF로 만들기 (0) | 2025.03.31 |
---|---|
블렌더에서 오디오 동기화하기 (0) | 2025.03.31 |
Grease Pencil로 2D 애니메이션 하기 (0) | 2025.03.31 |
텍스처 맵핑과 UV 언래핑 기초 (0) | 2025.03.31 |
키프레임 애니메이션 원리 설명 (0) | 2025.03.31 |